- 이번 글에서는 당뇨의 정확한 기전에 대해 탐구해 봄으로 열심히 당뇨약으로 치료를 하지만 합병증을 피할 수 없는 이유를 밝혀 보겠습니다.
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은 피 속의 혈당이 몸속으로 전달되는 과정에 문제가 생긴 질병입니다. 이 때 중요하게 역활을 하는 호르몬이 인슐린인데, 인슐린이 필요량 만큼 분비되지 못하거나 분비는 되지만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의학적 용어로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합니다.) 몸 속에 당분을 공급받지 못합니다. 세포는 당분을 원료로 생명활동을 유지하므로 당공급에 문제가 생기면 병들게 됩니다. 우리 몸은 모두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따라서 당뇨병이 생기면 세포로 이루어진 모든 곳에 병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당뇨 합병증이라고 합니다.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는 원인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에 선천적 문제를 안고 있는 병을 제1형 당뇨병이라고 합니다. 정확한 원인이 밝혀져있지는 않지만 발생초기나 출생 후 초기에 췌장 쪽에 염증이 생겨 호르몬 분비 세포가 섬유 세포로 변형이 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호르몬은 정상 분비되지만 정상 작동하지 않는 저항성이 생긴 상태를 말하는데, 여러가지 원인으로 설명이 가능한지만 편의상 가장 중요한 한 가지를 설명드리면, 인슐인이 과다 분비되어 고인슐린혈증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인슐린은 한번 분비되면 상당히 긴 시간을 혈액 속에 남아 있게 됩니다. 인슐린을 많이 필요로 할 때에는 괜찮지만 필요 없을 때에도 혈중 인슐린 농도가 높으면 우리 몸은 이를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데 이 때 인슐린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저항성이 생기는 것입니다.
혈당을 인위적으로 떨어트리면 안되는 이유
우리 몸의 세포에 100이라는 당분이 필요하다고 하면 당을 피속에 100을 싣어서 필요로 하는 곳까지 보내면 됩니다. 그런데, 인슐린 저항성으로 효율이 떨어지게 되면 – 극단적인 예이지만 편의상 100을 싣어 보내도 50밖에 전달하지 못한다고 하면 세포에는 50이 부족하게 됩니다. 이를 보상해 주기 위해 다음에는 피 속에 혈당을 200까지 올려서 보내게 됩니다. 그러면 세포에는 일단 100이 공급되게 됩니다. 너무 장시간 혈당이 고혈당으로 존재하게 되면 이를 배출해 버리게 되는데, 이때 소변으로 당분이 빠져나가면서 당뇨(糖尿) 증상이 생깁니다. 세포에 필요한 100이라는 당분이 계속 공급되는 상황에서는 어째든 합병증이 생기지 않지만 다시 혈당을 강제적으로 100에 맞춰버리게 되면 세포에는 50밖에 공급받지 못해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혈당만을 정상혈당으로 맞추는데 초점을 두고 전체적인 당공급 시스템을 바로잡지 않게 되면 당뇨 합병증은 정상 혈당에서도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당뇨약의 종류와 한계
당뇨약은 크게 당흡수를 막는 약,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약,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약, 당뇨합병증을 개선하는 약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당흡수를 막는 약은 소화불량, 더부룩함 등의 소화기관 불편함이 따라 올 수 있고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약은 췌장 기능을 점점 약화시켜 점점 더 높은 용량의 약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약도 개념적으로는 근본적인 치료이지만 원인이 확실하지 않은 심혈관계 부작용이 있습니다.
이 모든 약들의 최종 타겟은 당뇨병의 치료가 아니라 혈당의 조절 즉, 피 속에 있는 당의 농도를 낮추는 데 있습니다. 그래서 약을 복용하는 동안은 혈당이 어느 정도 조절이 되지만 복용을 중단하면 다시 혈당이 올라가는 한계가 있습니다.
더 근본적으로는 세포의 당분 공급 제한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최종목표가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결국은 혈당은 정상적으로 낮출 수 있지만 혈관에서 조직속으로 당분의 이동이 부족해지므로 세포는 당 부족을 겪게 됩니다. 이는 당뇨 합병증을 예방할 수 없습니다.
기존의 이론은 사용되지 못한 혈당이 혈관벽에 침착하여 동맥경화를 유발하거나 혈액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지방세포에 침착되어 혈관을 막는다고 생각했지만 논리 상 허점이 많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의하면 당의 잉여가 아니라 당의 부족이 당뇨병의 합병증을 설명하기가 더 용이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당뇨병과 중풍, 당뇨병과 치매의 관계
중풍은 당뇨병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치매 또한 인슐린 저항성에 많이 영향 받는다고 보고되었습니다. 그런데, 잘 생각해보면 당분이 혈관에 잘 전달되지 않으면 뇌혈관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혈관에 문제가 없더라도 뇌세포에 직접적으로 당분 부족 현상을 장기간 겪는다면 치매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즉,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지 않은 채, 혈당 조절에만 초점을 맞추면 점점 중풍과 치매에 취약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이번 글에서는 당뇨약을 먹어도 당뇨합병증이 생길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당뇨병의 근본 치료는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가능합니다. 약물의 의존하지 않고 혈당이 정상으로 내려와야 합병증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혈압약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Reversing Diabetes – Julian Whitaker, M.D.
당뇨병치료 당뇨약에 기대지 마라 – 선재광